본문 바로가기

마인크래프트/레드스톤

마인크래프트 :: 레드스톤 기초강좌 - 1



안녕하세요 이번에 마인크래프트 레드스톤 강좌를 쓰게된 방울이입니다.


마인크래프트에는 "레드스톤"이라는 요소가 존재합니다.


마인크래프트에서의 삶을 더욱더 풍요롭고 재밌게 즐길수 있게하는 요소지요


우선 레드스톤이 무엇인지부터 저와 함께 알아 봅시다.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pyNSo


일단 배경음악과 함께 시작합니다.


싫으신분은 종료해주세요




우선 레드스톤은 "레드스톤 광석"을 캐서 나오는 것입니다.


야생으로 플레이하시는분은 광질을 해서 레드스톤을 구해야합니다.


그리고 그 레드스톤을 3x3으로 가공해서 "레드스톤 블록"으로 만드실 수도 있습니다.



그 레드스톤을 놓으면 이렇게 점처럼 놓이는데



연결하면 모양이 바뀝니다.



그리고 레드스톤은 이렇게 블럭위로 올라갈수도있고



각종 요소들 (버튼, 레버, 레드스톤 토치, 감압판 등)으로 이 레드스톤에


전기 신호를 가하게 되면



이렇게 전선처럼 연결된 레드스톤들에 불이 들어옵니다.



레드스톤에 불이 켜지면 작은 빨간색 연기가 나며,


불이 꺼진 레드스톤은 연기가 나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전기신호에서 멀어질수록 색이 점점 까매집니다.



한 전기신호는 레드스톤을 타고 15블럭 멀어집니다.


그러면 최대범위가 15블럭이냐고요?


아닙니다.

이걸 늘릴수 있는 장치도 있으니까 걱정마세요.


이것에 대해선 나중에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그런데 레드스톤을 이렇게 십자로 벌어지게 해도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15블럭은


전기신호부터의 거리가아니라 전기신호부터의 레드스톤 갯수입니다.


직선으로 가든, 십자로 가든 15개를 넘어가면 더이상 전달되지 않는단 것이죠



그리고 물이나 용암으로 레드스톤에 부어버리면 아이템화가 되어버리고 맙니다.


수중작업 하실땐 조심하셔야합니다.


가끔 야생에 회로만들고 확장공사할때는


물이 들어오면 다 아이템화가 되어버리고 마니 조심하셔야됩니다.



다음시간엔 레드스톤에 영향을 받는 블럭들과



레드스톤의 신호를 발생, 전달시키는 블럭들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오타/누락된부분이 있으면 댓글달아주세요


이상입니다.